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8)
제5강: LM곡선의 도출 ※ LM곡선의 의미 LM곡선은 화폐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화폐시장이 균형이 되려면, 화폐수요(Liquidity)와 화폐공급(Money)이 일치하면 된다. Liquidity의 L과 Money의 M을 따와서 LM곡선이라 이름붙였다. 즉, LM곡선이란 L(liquidity)=M(Money)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며, 화폐시장의 균형을 나타내는 곡선 (참고로 IS곡선은 재화시장의 균형을 의미한다.) LM곡선은 Keynes의 유동성 선호이론에 따른 화폐시장의 균형식을 이용해서 도출할 수 있다. $ \frac{M}{P}=\mathit{l}(R)+k(Y) $ 여기서 ℓ(R)은 투기적 화폐수요를, k(Y)는 거래적 화폐수요를 뜻한다.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투기적 화폐수요는 이자율과 역관계이고, 거래적 화폐수요..
리브메이트 오늘의퀴즈 7월 8일 '서로서로 도움'을 뜻하는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정답: 상부상조
리브메이트 오늘의 퀴즈 7월 7일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함'을 뜻하는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정답: 이심전심
제4강: 명목변수 vs 실질변수 ※ 명목변수 vs 실질변수 (=화폐단위) (=재화단위) 소금 1kg을 P원으로 살 수 있다고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1원으로는 $ \frac{1}{P} $ kg만큼 살 수 있다. 따라서, M원으로는 $\frac{M}{P}$ kg만큼 살 수 있을 것이다. 명목변수(화폐단위) 실질변수(재화단위) P원 재화 1단위 1원 재화 $ \frac{1}{P} $단위 M원 $\frac{M}{P}$단위 화폐단위(M)로 표시한걸 물가(P)로 나누면 실질변수로 바뀐다. 반대로, 재화단위로 표시되어있는 실질변수에 P를 곱하면 명목변수가 된다. ※ 명목변수와 실질변수를 구분해야 하는 이유? 아버지가 1980년에 취직하고 초봉으로 100만 원을 받았다. 맹구는 2020년에 취직하고 초봉으로 300만 원을 받았다. 누가 더 잘 사는..
리브메이트 일반상식 퀴즈 148회차 1. 불티 2. O 3. 스파이크
리브메이트 오늘의 퀴즈 7월 6일 '스스로를 소중히 여기고 아낌'을 뜻하는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자중자애' 입니다.
제3강: 유동성 선호이론 LM곡선을 도출하기에 앞서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이론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유동성 선호이론을 통해 도출해낸 화폐시장의 균형식 세 가지에 대해 알아본다. (1) Keynes의 유동성 선호이론 정의 유동성 선호이론이란? 사람들이 유동성을 선호하기에 거래시 화폐가 필요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 이론이다. 유동성이란 현금화가 얼마나 쉽게 되는가를 뜻한다. 어떤 자산의 유동성이 높다는건 그만큼 그 자산을 쉽게 현금화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집을 팔아서 현금화하는 것은 주식을 팔아서 현금화하는 것 보다 힘들다. 따라서 주식이 집보다 유동성이 높다고 이해할 수 있다. 사람들은 너무나 상식적이게도,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서 유동성이 큰 자산을 선호한다. 당연히 현금이 유동성이 가장 크다. (2) 케인즈 화폐수요의 세 ..